전체 글

코딩하는 고냥이
· Git
들어가기Git에는 수많은 명령어가 존재한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자주 사용되거나, 알아두면 좋은 명령어들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 관련 포스팅[Git] 형상 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란?[Git] Git이란? Git의 3가지 영역과 동작 과정 Git 설정 관련 명령어git init현재 경로를 Git으로 버전 관리하겠다고 명시하는 명령어가장 기본적인 명령어로, init 명령어를 실행하면 해당 경로에 `.git` 디렉터리가 생성되면서 Git의 관리 대상이 된다.Git을 사용하기 위해 가장 먼저 실행해야 한다. git clone원격 저장소(Ex. Github, Bitbucket)에 있는 파일을 로컬로 복제(clone)하는 명령어Github과 같은 원격 저장소에 올라간 파일을 ..
· Spring
스프링 배치 (Spring Batch)Batch의 사전적 의미는 "일괄 처리"로, 사용자와 상호작용 없이 여러 개의 작업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중단 없이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스프링 배치(Spring Batch)는 Spring 환경에서 대용량 데이터를 일괄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레임워크로, 정해진 로직에 따라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더보기Batch는 Scheduler인가?Batch와 Scheduler는 모두 자동화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혼동하기 쉽다.하지만, Batch는 대용량 데이터를 일괄 처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Scheduler는 특정 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로직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Batch와 Scheduler는 별개의 기능이다.즉, 스케줄러를 사..
· Git
들어가기처음 Git을 접했을 때는 어렵고, 실수하면 큰일 날 것 같은 존재였다. 아마 많은 주니어 개발자들도 비슷한 고민을 해봤을 것이다.그래서 Git을 제대로 공부해 보니, 동작 원리를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는 걸 깨달았다.나처럼 Git이 부담스럽게 느껴지는 개발자들에게 도움이 되고 싶어, Git의 개념과 기본 동작 원리를 정리해 보았다.  앗! 참고로 Git 개념을 공부하기 전에 알아두면 좋은 형상 관리 개념은 이전 포스팅에 정리했다. [Git] 형상 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란?      Git이란?Git은 소스 코드 관리를 위한 분산형 버전 관리 시스템(DVCS)이다.쉽게 말해, 여러 명의 개발자가 같은 프로젝트를 각자의 컴퓨터에서 개발하고, 협업하면서..
· Git
형상 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형상 관리는 소프트웨어 구성 관리(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라고도 하며, 소프트웨어의 변경 사항을 추적하고 통제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Git을 사용하다 보면 버전 관리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되는데, 형상 관리와 버전 관리는 같은 의미가 아니다. 형상 관리는 더 포괄적인 개념으로, 그 안에 버전 관리가 포함된다. 여기서 "형상"은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와 그 상태를 의미한다.소스 코드, 빌드된 바이너리 파일, 설계 문사, 테스트 케이스와 그 결과, 시스템 설정 및 환경 설정 파일 등이 해당된다.형상 관리는 이러한 구성 요소들의 버전과 변경 사항을 관리하는 개념이다.  변경 관..
· Network
HTTPHTTP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되는 단방향 프로토콜이다. HTTP의 전제는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가 URL 및 부가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페이지를 서버에 요청하고, 서버는 요청에 응답한다." 이다. 여기서 서버에 요청한다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해야만 원하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는 뜻인데, 사용자는 새로운 데이터를 얻기 위해선 반드시 새로운 URL을 요청해야 한다는 것이다.  HTTP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HTTP는 요청(Request) / 응답(Response) 을 기반으로 한다.HTTP는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stateless한 프로토콜인데, 이는 각각의 요청이 독립적이고 서버는..
· ETC
1. 옵저버 패턴 (Observer Pattern)옵저버(Observer)를 직역하면 관찰자, 감시자를 뜻한다.옵저버 패턴(Observer Pattern)은 옵저버(감시자)가 관찰하는 대상자의 상태 변화(이벤트)가 발생되는 것을 감시하는 패턴이다.옵저버 패턴은 다른 디자인 패턴과 다르게 일대다(1:N) 의존성을 가진다.  옵저버 패턴을 유튜브 채널과 구독에 비유하면 이해하기가 좀 더 쉽다.유튜브 채널을 구독하는 구독자는 자신이 구독한 채널의 새 영상이 업로드되면 알림을 받게 된다. 여기서 유튜브 채널은 관찰 대상자가 되고, 구독자는 옵저버(관찰자)가 된다.유튜브 채널에 새 영상이 업로드되는 이벤트를 감지하고, 미리 정의해 둔 알림을 보내는 동작이 수행된다. 이처럼 옵저버 패턴은 이벤트가 발생될 때마다 미..
코냥이
코냥이의 하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