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DNS A 레코드(A Record)란?
들어가기
현재 참여하고 있는 스터디에서 도메인을 구입하고 DNS 설정을 하는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다.
우리 스터디는 하나의 도메인을 구입해서 프론트용, 백엔드용과 같이 서브 도메인으로 나누어 사용할 것이다.
본 포스팅에서는 서브 도메인을 생성할 때 필요한 DNS 레코드 개념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도메인을 구입하고 AWS에 적용하는 과정은 다음 포스팅에서 작성할 예정이다.

✔️ DNS 레코드(Record)란?
DNS 레코드(Domain Name System Record)는 DNS 서버에 요청된 패킷을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한 정보이다.
사용자가 브라우저 주소창에 도메인 네임을 입력했을 때, DNS 서버는 해당 도메인 네임에 대한 DNS 레코드를 찾아서 최종적으로 어떤 IP주소로 사용자를 연결시켜줘야 하는지 파악한다.
DNS 레코드 종류
DNS 레코드 종류 중 자주 쓰이는 레코드는 A 레코드와 CNAME이다.
- A
- CNAME
- MX
- TXT
- SOA
- HINFO
- MINFO
- PTR
- UNIFO
- ANY
- AAAA
- SRV
- NS
루트 도메인과 서브 도메인
DNS 레코드를 이해하기 위해 루트 도메인 네임과 서브 도메인 네임에 대해 이해해야 한다.
google.com, naver.com 과 같은 형태의 도메인이 바로 루트 도메인이다. 우리가 도메인 네임을 구매할 때 루트 도메인 단위로 구매를 하는 것이다.
서브 도메인은 루트 도메인에 추가로 글자를 붙인 형태이다. 예를 들어, 네이버는 new.naver.com, dict.naver.com 과 같이 서브 도메인을 사용해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우리가 흔하게 볼 수 있는 www. 으로 시작하는 도메인도 서브 도메인 중 하나이다. (Ex. www.naver.com)
✔️ A 레코드(Record)란?
A 레코드(Address 레코드)는 가장 기본이 되는 DNS 레코드 유형으로, 도메인 네임을 특정 IP 주소로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레코드를 사용하면 tistory.com 도메인 네임에 121.53.105.234 IP 주소를 연결할 수 있다.
A 레코드는 하나의 도메인 네임에 여러 개의 IP를 연결할 수 있다. (일대일/일대다/다대일)
이러한 특징을 활용해서 루트 도메인과 서브 도메인을 구성할 수 있다.
출처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잘못 작성된 내용은 피드백 주시면 반영하겠습니다 😎